도쿄타워
printf("\"Tokyo Tower\" este un blog din dragoste pentru călătorii și cafea")
인스타그램을 그만두며
728x90

잠시 우주를 생각해보자. 우주에는 수많은 별이 빛나지만, 외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은 극히 일부이다. 그렇기에 조그만 신호도 소중하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은 신호로 가득 차있다. 따라서 어느것도 소중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인스타그램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상을 받은 사실을 올리면 다들 축하해준다. 예전 같았으면, 굳이 입밖으로 꺼내기 쑥스럽지만, 인스타그램에서는 쉽게 올릴 수 있다. 그래서 인스타그램 속에는 목적들로 가득하다. 칭찬받았으면 해서, 나 똑똑하다고 생각했으면 해서, 예쁘다고 해줬으면 해서… 그렇게 목적이 있는 글로 가득한 피드는 어쩐지 피곤하다.

 

이러한 현상은 스토리가 생기면서 더욱 심해졌다. 역설적으로 자기를 공유하기 쉬워질수록 주목을 덜 받게 된다. 그리고 휘발성이고 가벼운 관계만이 자리하게 된다.

 

그리고 인스타그램를 통해 너무 쉽게 관계가 이어진다. 하지만 쉽게 얻은 건 성취감이 없다. 인스타로 쌓은 인간관계는 훌훌 밥풀처럼 쉽게 흩어진다.

 

던바의 수라는 말이 있다. 수렵사회에서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부족에는 한계가 있었고, 그 수는 150명이다. 이는 현대에도 변함이 없다. 하지만 어지간한 인스타 팔로우는 150이라는 숫자를 넘어선다. 이는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관계를 넘어선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에게 더 소홀해진다. 언제든지 연결될 수 있어서, 얼마든지 연대할 수 있어서, 어디서든 연락할 수 있어서. 서글픈 일이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는 내가 누구를 팔로우하고 누가 나를 팔로우하는지 공개된다. 과거에는 내가 누구와 친구인지는 뒷조사를 하지 않으면 알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제는 누구나 확인이 가능하다. 클릭 한번으로.

 

이로 인해 리스크는 더욱 커져간다. 사회적으로 논란을 일으킨 사람이나 이상한 사상을 가진 사람과 엮이는 순간 나도 알게 모르게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적어도 카카오톡에서는 남들이 내가 누구와 연락하고 지내는지, 내가 누구와 친구인지 모른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에서는 누가 나에게 댓글을 달고, 누가 나와 팔로우 관계인지 명확히 보인다.

 

아이러니한 것은, 쉽게 시작한 관계를 끊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물리적으로 어려운 것이 아니다. 심리적으로 어려운 것이다.

 

인스타그램 팔로우와 팔로잉을 정리하는 것은 연락처를 정리하는 것과는 다르다. 내가 연락처에서 특정 인물을 삭제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알턱이 없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은 나의 팔로우 팔로잉 목록이 보이기에 쉽게 알 수 있다. 적어도 내가 올리는 피드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관계가 끊겼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관계를 정리함으로써 그 사람에게 적지 않은 불쾌감을 안겨줄 수밖에 없다. 이는 단순히 연락을 하지 않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렇기에,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멀어지는 관계는 늘어나지만, 일이 바빠서 정리하지 못한 방처럼 어느새 친구 목록이었던 팔로우 리스트는 지인 목록이 되었다가, 어느 순간에는 스쳐 지나간 사람 리스트가 되어버린다. 내가 연락했을 때, 이 사람이 왜 연락했지? 싶은 생각이 드는 사람마저 내가 안고 가야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들은 생각보다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과 글에 관심이 없다. 그저 지하철 시간 때우기 용도일 뿐이다. 스스로가 인스타그램을 하는 시간을 생각해보라. 타인이 올린 게시글과 사진을 하나하나 음미하는가? 우리가 대충 손가락으로 지나보낸 글과 사진은 사실 그 사람이 고심 끝에 올린 것이다. 사진 서른 장에서 내 얼굴이 가장 잘 나오면서도 다른 사람 얼굴에도 이상한 점이 없는 사진, 오늘 다녀온 콘서트에서 느낀 감동 등…

 

그러나 우리 사이에는 테니스코트처럼 네트가 가로막고 있어서, 우리의 진심은 언제나 네트에 걸린 공처럼 전달되지 않기 마련이다.

 

나는 인스타그램을 올릴 때 항상 사진을 꽉 채우고 글도 장문으로 쓰는 편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내 글을 과연 읽을까하는 궁금증이 생겨서 실험을 해보았다. 대충 장문 맨 아래에 이 글을 읽었다면 친소 여부와 상관없이 dm을 보내거나 아래 댓글에 좋아요를 달아달라는 요청이었다. 놀라운 일은, 수많은 게시글 좋아요에도 불구하고 요청대로 끝까지 글을 읽고 행동한 사람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나는 굉장히 자기 중심적인 사람이어서, 정작 자신은 남들이 올린 게시글을 대충대충 읽으면서, 내 자신이 올린 것은 제대로 봐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든다. 그러나 인스타그램을 해본 사람은 알다시피 운영사에서 중요한 것은 광고이다. 남들이 올린 게시글은 미끼에 불구하다. 시스템적으로, 남들에게 소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우리에게 관심이 없다. 결국은 가족과 친구 몇명만이 남는다. 지금 주변이 사람들로 가득해도 이성적 매력이 사라지고 다들 가족이 생기면 하나둘 사라지게 된다. 그렇기에 지금 홀로서기를 연습해야 한다.

 

그래도 인스타그램을 하면서 좋은 점도 있었다

 

덕분에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 노력했고, 좋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려고 노력했다. 그렇게 인스타그램에서 얻은 좋은 취미를 손에 쥐고 지금 떠나고자 한다.

 

그동안 고마웠고 즐거웠다, 인스타그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