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타워
printf("\"Tokyo Tower\" este un blog din dragoste pentru călătorii și cafea")
2023.05.07 - 서울 : TOEIC Speaking
728x90

오늘도 영어 잘하는 친구들에게 간절히 힘을 빌려달라고 비는 중

저번에 본 토익 620점 나온거 보고 자괴감+이렇게 못봤는데 그래도 600은 넘는구나라는 마음이 공존 중

문법 거의 다 찍었는데 ㅎㅎ

 

와... 간판이라도 있을 줄 알았는데 저기였음

좀만 늦게 왔으면 못찾아서 입실 못했을 듯

 

이번으로 끝내자 제발...

 

엄청 옛날 컴퓨터...

주변에 개발 관련 책 꽂혀있었는데

제이쿼리 있는 거 보구 납득함

 

후우...

물론! 공부를 하나도 안하긴 했지만

내가 이렇게 영어를 못했나 자괴감 든다

파트 1 2만 겨우 하고 나머지는 어버버...ㅎㅎ

ㅠㅠ 나중에 자존감 채우러 일본어 시험이라도 봐야겠다

슬슬 JPT도 만료될 때가 되었기두 하고

 

착잡한 마음을 뒤로 하고 맛난 꿀닭

저녁에 장보러 갔는데 코코볼 1+1하길래 두 넘 업어왔다

은근 씨리얼이 비싸서 이럴 때 아니면 못 먹어

728x90
2023.04.28 - 학교 : 상담
728x90

취업 너무 힘들어서 상담 받으러 왔다

걍 아무나 붙잡고 말하면 뭔가 속이 시원한데 그렇다고 아무나한테 말할 수 없으니 그런 점에서 상담은 참 좋은 것

서울캠퍼스 근처에 살아도 본적이 글로벌캠퍼스라 첨에 배정이 글캠으로 났다

그래서 상담실에서도 당황한 모양... 본의아니게 조금 미안했다

논의 끝에 서울캠퍼스에서 받아주기로 결정

 

의자에 귀여운 부엉이가 앉아 있었다

오랜만에 이거저거 이야기하다보니 마음이 놓였다

초기 상담이라 검사할 거 정해서 검사하기로 했다

너무 많이 하면 하나당 상담이 짧아진다해서 적당히 하기로 함

 

나오는 길에 본 통역협회

통번역연합회에서 활동하다 보니 간간히 소식을 듣고는 하는데 사실 정확히는 모른다 ㅎㅎ

걍 우리랑 비슷하겠거니 할 뿐

728x90
2023.04.27 - 서울 : 프로젝트 미팅
728x90

피벗모니터를 쓰니까 이럴 때는 편하다

새벽까지 코드 보다 내일 미팅 있어서 겨우 잠들었다

 

자전거 타고 성수 가는 길에 예쁜 나무가 있어서 찍어봤다

 

오늘의 성수

힘들다 나 좀 꺼내줘

 

ㅋㅋㅋㅋㅋㅋㅋ

 

오랜만에 자전거 타니 죽을맛...

그래도 밤에는 낮보다 바람이 덜 불어서 좋아

 

동네 야경

오늘도 하루 끝

728x90
2023.04.25 - 서울 : SSAFY 설명회
728x90

프로젝트 미팅이 있어서 열심히 역으로 가는 중

에스컬레이터 고장나서 헉헉대며 계단을 올라갔다

운동해야겠다 진짜...

 

캠퍼스세븐인데 입구를 못찾아서 한참 왔다갔다 했다

 

깔끔해서 좋긴 한데... 여러명이서 회의할 느낌은 아니다

걍 예약안해도 되는 바깥 라운지에서 하기로 함

 

바깥 뷰

비가와서 그런지 우중충하다

 

계속 코드랑 씨름하다 설명회 들으러 역삼으로

 

다른 부트캠프 설명회 오는게 살짝 찔리긴 했지만

더 나은 길을 위해서라면... 어쩔 수 없지

 

높아서 그런지 주변이 잘 보인다

날씨 맑으면 나중에 합격하고 나서 커피 보며 바라보는 여유 정도는 생겼으면

728x90
2023.04.21 - 서울 : 월드 IT쇼
728x90

오늘자 학교

날씨가 맑다

 

코엑스 도착

 

작년에 한일축제한마당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들어가려고 했는데

현장입장은 1층이라고...ㅠ

 

사람들이 엄청 많이 기다리고 있었다

근데 키오스크라 금방금방 줄이 빠짐

 

신기한 기술들이 정말 많았다

중간에 있었던 귀여운 게임

광화문 광장을 체험할 수 있었다

 

부스가 엄청 많지만

관련 산업 관계자가 아니라면 이해하기 쉽지 않은 곳들이 많았다

 

대학 부스가 몰려있던 곳으로

 

기업들만 참여할 줄 알았는데 대학들도 참여하고 있었다

대학에서 저런 부스 참여해보고 싶은데 이미 기차는 지나갔고...

 

영문모를 로봇

 

1층을 나와서 2층으로

 

요즘 뜨는 DX 관련해서 여러 직군 별로 디지털화 서비스를 설명하는 LG CNS 부스

 

이렇게 게임을 체험할 수도 있었다

 

통신사로만 생각했던 SK텔레콤이 모빌리티에도 손을 뻗고 있었다

생각해보니 티맵이 있었구나

 

손톱을 찍으면 건강 결과를 알려주는 기계

IT가 매력적인 건 얼마든지 다른 분야와 결합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ㅎㅎ 난 건강함

 

응모했던 에이닷 추첨

안타깝게도 당첨 안됨

이상한 레더박스였나 그런거 주던데 어디에 쓰는 건지 잘 모르겠다

 

IT에 관한 강연

안타깝게도 대학생은 그냥 금요일에만 참여가 가능해서 수요일과 목요일은 들을 수 없었다

애초에 위치를 몰라서 이거 봤을 때는 다 끝나있었다

열심히 공부해서 강연에 오면 알아 들을 수 있는 때가 왔으면 좋겠다

 

IT쇼 끝날 때가 되서 나오는데 옆 전시회도 무료로 볼 수 있다길래 구경왔다

근데 분위기가 확실히 달라서 깜짝 놀랐다

뭔가 온화하고 후와와한 느낌?

 

다시 집으로

 

집에 있다가 갑자기 한강가고 싶어서 차를 빌리기로 함

친구 꼬셨는데 바로 오케이함

 

주차장이 쓸데없이 높아서 힘들다

차로 빙글빙글 돌아야 내려옴

 

여의도로 왔는데 내가 생각한 한강 느낌이 아님

으음...

 

사람도 별로 없고 한적했다

 

그냥 여기저기 아무거나 사진 찍어보는 중

 

주차장에 차 세워두고 친구랑 따릉이 탔당

서울시민인데 따릉이 정기권이 없다구?

이 친구 서울 헛살았네

 

한강은 미니 도로처럼 자전거 도로가 잘되어있어서 좋다

 

이상하게 차분해지는 다리 밑 공간

 

학인지 두루미가 킥보드타고 있었다

 

좋아하는 구도라 그런지 사진이 폭발한다

 

사람들이 다리 밑을 좋아하는 이유를 예전에 셜록현준 유튜브에서 본 기억이 있는데 뭐였는지는 까먹었당

 

자전거 반납하러

교회 건물이었던 걸로 기억

 

꽉막히는 도로도 자정을 넘어서는 조용하다

 

한강 빠이빠이

 

주차장에서

오랜만에 운전하니까 살거 같다

 

친구랑 학교 산책

생각해보니 친구가 입학식 축하해준다고 오고 그 이후로 첨 오는거다

 

컴플렉스가 코플렉스가 되어버림

 

한바퀴 둘러보고

 

옆학교 구경

 

붉은 꽃이 피어서 순간 가을인가 했다

 

신전같은 곳

 

학교안에 로터리가 있다

 

오늘도 느낌있게 하루 끝

728x90
생일에 대해서
728x90

언제부터인지 축하는 사라지고 선물만 남았다.
 
내 생일을 진정으로 축하해서 그것을 선물로 나타내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
대부분 받은 만큼 돌려줘야한다는 의무감이 크다.
 
관계가 돈으로 정해진다. 누구는 5만원 선물, 누구는 3만원 짜리 선물…
 
어느순간 선물은 거래가 되어버렸다.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무난한 선물을 준다. 그렇기에 보편적인 기준에서 선물이 정해진다. 그 과정에 그 사람의 개성은 소멸된다.
 
얼마나 많은 뿌링클과 아메리카노를 받았는지.
 
나는 뿌링클과 아메리카노를 좋아하지 않는다. 받아도 곤란할 뿐이다.
 
2년전부터 나의 생일을 알리지 않기로 했다. 카톡에서 생일을 숨기고 스토리도 올리지 않았다.
 
쓸쓸한 생일은 다소 슬펐지만, 선물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 마음껏 타인의 생일을 축하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 선물은 없어도 되었다.
 
생일에 타인이 필요하다는 것은 어찌보면 만들어진 현상이다. 타인의 존재가 나의 생일을 돋보이게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오로지 그것만이 생일의 존재 의의라고 한다면, 생일은 의미가 없다.
 
남의 칭찬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과 같다.

728x90
인스타그램 시대의 인간관계
728x90

예전에는 친구라는 환상이 있었다.
 
어느순간부터
점점 친구가 지인으로 변해간다.
 
혁명을 일으킬 친구도 없다.
내 속마음을 털어놓을 친구도
인생의 중대사를 함께 할 친구도
 
오로지 가볍게 대체가능한 사람들의 집합이 되었다.
 
그렇게 동지는 사라졌다.
 
더 이상 친구의 소식은 소중하지 않다. 그저 청량리와 회기 사이의 시간 때우기 수단이 되었다.
 
나만을 위한 소식도 아니고, 그렇기에 답장을 하기도 부담스럽다.
 
뜨뭄뜨뭄한 관계 속에 우리는 오늘도 고통받는다.

728x90

'끄적끄적 > 내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는 것에 의미는 없다  (0) 2023.11.27
에셔의 예술세계  (0) 2023.11.01
살기 힘든 한국을 만드는 것은 우리다  (0) 2023.08.10
생일에 대해서  (0) 2023.05.06
어른이 되고 싶었던 이유  (0) 2023.04.15
나르시스트와 자기객관화  (0) 2023.04.11
동아리 마케팅  (0) 2023.04.11
냄새와 향기의 차이  (0) 2023.04.06
2023.04.15 - 서울 : TOEIC
728x90

흐린 날 토익보러 휘적휘적 걷는 중

 

영어 잘하는 친구들아 나에게 기운을 모아줘!!!

 

학교 건물 오랜만에 와본다

항상 고등학교였는데 중학교라니 풋풋하구만

 

고사실 못 찾아서 한참 헤맴 ㅎㅎ

누가봐도 토익 첨 보는 사람임

 

학교가 신기하게도 V자 모양임

 

와... 영어가 이렇게 어려웠나...

멘탈 탈탈 털리고 나옴

어디 가서 학교 말하지 말아야겠다

신기한게 요즘 학교는 책상에 이것저것 기능도 많고 전반적으로 뭔가 아기자기한 느낌

 

학교 앞 식당

 

기대하고 왔는데 뻑뻑살이었다...ㅠ

 

영어 잘하는 애들 부럽다

 

영어...영어... 에효

물론 하나도 공부 안하고 보긴 했는데...

공부해야겠다...하아

728x90
어른이 되고 싶었던 이유
728x90

누구나 어린시절에는 하루 빨리 어른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누구는 빨리 술 담배를 하고 싶었을지도, 누구는 지긋지긋한 공부에서 해방될 수 있어서였을지도, 누구는 멋진 애인을 사귀고 원하는 곳에 마음껏 놀러 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가 어른이 되고 싶었던 이유는 무관심이었다.

 

아이들의 세계는 동물의 세계이다. 약육강식이 난무하는 정글 말이다.

약한 아이는 철저히 배제되고, 강한 아이는 모든 것을 가진다.

아쉽지만 나는 약한 아이였다.

괴롭힘 당하기 쉬웠고, 밟아도 상관없는 그런 아이였다.

 

아이팟 터치 비밀번호를 마음대로 바꾸기도 했고, (그래서 그날 이후로 내 핸드폰 비밀번호는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놀이터에서 술래가 되었을 때, 실눈을 뜨면 모두가 반칙을 하고 있었다.

물건을 빌려주어도 돌려받지 못하기도 했다.

비비탄 총에 맞기도 했고,

안경에 자물쇠를 걸려보기도,

축구 할 때는 서로 상대 팀에 데려가라며 혼자 남은 적도 있었다.

 

물론 좋은 기억도 있었겠지만, 다들 알지 않는가.

좋은 기억과 나쁜 기억이 있으면, 나쁜 기억이 항상 이긴다.

 

차츰 학업이 중요해지면서, 약육강식의 요소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단순히 힘의 논리에서 벗어나 더 공부를 잘하는 녀석이 무시 받지 않게 된 것이다.

다행히 나는 공부를 아주 못하지도 잘하지도 않는 상태였다.

남들에게 수험은 지옥의 시간이었을지 모르지만, 나에게 수험은 해방의 시간이었다.

다들 학업에 열중해서 괴롭힐 시간조차 없으니까.

 

“얘가 나중에 성공해서 잘나가면 졸라 재밌겠다.”

중학교 때 들은 말이다.

아직도 그 말을 한 녀석을 잊을 수 없다. 그 녀석은 기억하지 않겠지만.

 

학창 시절 내가 잃어버린 것은 자기애였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그걸 다시 찾을 수 있었다.

나는 자존심이라는 말이 싫다.

그때 나를 괴롭게 했던 아이들은 전부 자존심이 강했거든.

728x90

'끄적끄적 > 내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셔의 예술세계  (0) 2023.11.01
살기 힘든 한국을 만드는 것은 우리다  (0) 2023.08.10
생일에 대해서  (0) 2023.05.06
인스타그램 시대의 인간관계  (0) 2023.04.18
나르시스트와 자기객관화  (0) 2023.04.11
동아리 마케팅  (0) 2023.04.11
냄새와 향기의 차이  (0) 2023.04.06
분업의 위대함  (0) 2023.04.04
[엘리스 AI07] 7주차 - 백엔드 (2023.04.14)
728x90

오늘 배운 것
1. MongoDB
2. 네트워크 OSI 7계층
3. React useMemo
4. HTML form 태그

1. MongoDB

MongoDB에서 Mongo는 엄청 크다는 뜻인 humongous에서 mongo를 따온 거다. 그리고 DB는 말그대로 데이터베이스.

NoSQL이라는 종류가 있는데 말 그대로 SQL이 아니라는 것. 그런데 MongoDB는 NoSQL에 해당한다.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에서 데이터를 조작할 때 쓰는 언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행과 열로 구분된 표를 이용해서 자료들을 연결하여 그 관계를 토대로 데이터를 다룬다.

하지만 NoSQL은 이러한 구조화를 사용하지 않아 유연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키마가 무엇인지, 실제로 MongoDB를 어떻게 쓰는지, Mongoose는 무엇인지는 좀 더 공부해봐야겠다

 

2. 네트워크 OSI 7계층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컴퓨터는 0과 1로 데이터를 다룬다. 그렇기에

  • 물리 계층에서 전기적 신호를 받는다. 이를 랜카드는 0과 1이라는 비트로 변환한다.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비트의 모음으로 목적지/출발지/유형(이더넷인지 와이파이인지)/네트워크 계층 데이터/트레일러로 비트를 분류한다. 이러한 목적지 출발지 주소는 MAC이라고 불리는 랜카드의 ID이다. 이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상대방의 MAC을 바로 알 수 없다. 그래서 스위치를 거치게 된다.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이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기계(MAC)들이 여러개 모인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목적지 IP/출발지 IP/전송 계층 데이터이다. 라우터에서는 목적지 IP를 옆 라우터를 통해통해 전달된다.
  • 전송 계층에서는 포트를 사용한다. 

강의를 듣고 정리를 해본 건데... 뭔가 막연하다. 1강짜리 간단한 강의라 그런지 각 내용에 대해 정확한 순서가 담기지는 않았다. 더 공부해서 틀린 내용은 없는지, 찾아볼 필요가 있겠다.

 

3. React useMemo와 React.memo

메모이제이션 : 이미 계산해본 연산결과를 기억해두었다가 동일한 계산을 시키면 다시 연산하지 않고 기억해둔 데이터 반환하는 것이다. 어려운 계산은 말 그대로 메모장에 저장해두고, 똑같은 계산을 할 때 다시 계산하지 않고 그냥 메모장 펼쳐서 저장된 값을 쓰는 거다.

 

React.memo는 특정 조건이 아니면 컴포넌트의 리렌더링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자식 컴포넌트에 업데이트 조건
<CountView/> : count가 변경될 때만 렌더링
<TextView/> : text가 변경될 때만 렌더링

이런 식으로 렌더링을 하고 싶다. text를 변경했는데 count가 count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될 필요가 없다. count 컴포넌트는 count가 바뀔 때만 리렌더링하고 싶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React.memo

고차 컴포넌트 :  컴포넌트를 가져와 새 컴포넌트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가죽을 주면 구두를 만들어 준다

똑같은 prop을 받으면 다시 컴포넌트를 계산하지 않는다 = 리렌더링하지 않는다
자기 자신의 state가 바뀌면 리렌더링 된다

객체를 비교하는 방법

let a = {count:1};
let b = {count:2};

if(a === b) {
console.log("EQUAL");
} else {
console.log("NOT EQUAL");
}

NOT EQUAL로 판별
객체의 주소에 의한 비교 = 얕은 비교 (비원시형 타입)

참조형!
고유한 메모리 주소 < 같은 주소에 있느냐를 비교
값이 같더라도 다르다고 판단

홍길동와 아무개

나이와 키 체중이 다 같다고 해서 둘이 같은 사람이 아니다

BUT

let a = {count:1};
let b = a;
if(a===n){
console.log("EQUAL");
} else {
console.log("NOT EQUAL");
}

EQUL< 같은 객체를 가르킨다

 

마지막으로 생활코딩에서 React를 듣다가 form 태그에 대한 설명이 나와서 그쪽을 학습했다.

form태그는 input 태그를 감싸는 걸로 submit을 하게 되면 form의 액션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나중에 자세한 건 HTML 포스팅에 추가해야겠다.

 


오늘은 엘리스 같은 스터디원이 알려준 네트워크 강좌가 곧 만료라고 해서 후다닥 들었다. 네트워크 쪽에 부족함을 많이 느껴서 네트워트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약간이나마 알게 된 것 같다.

다음으로 엘리서 MongoDB 수업을 들었는데 이론 때도 모르겠던게 지금 들어도 영 모르겠다. 일단 MongoDB깔긴 했는데 강의에 나온 거랑은 버전이 달라서 그런지 실습에서 DB로 하는 게 적용이 안된다... 도대체 MongoDB가 뭐야... 백엔드 스터디에 MongoDB 좀 더 긴 강의가 있는데 그거로 좀 더 공부해야겠다.

오늘 인프런에서 useMemo를 들었다. useMemo 이후부터 이해에 큰 구멍이 뚫려있었는데 왜 쓰는지를 알고 나니까 시원하다. 애초에 이름에 답이 있었다. 그동안 몰랐던 React Hook들이랑 라우터까지 숙지할 생각하니까 신난다.

항상 진도를 1주 늦게 따라가는 감이 있다. 그래도 1주만 늦는게 어디야 하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함.

지금 하는 Node.js랑 MongoDB도 다음주면 어찌어찌 이해하겠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