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환경부 산림청 산림자원관리과 소속 6급 진민석입니다. 지금은 2024년 5월 23일 목요일이군요.
어쩌면 제가 지금 말한 자기소개조차 제대로 전달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좋습니다. 설령 당신이 제가 하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어쩌면 이 편지에 적힌 문자를 해독하지 못한다고 해도요.
이 편지를 누군가가 읽고 있다는 건 어떠한 방식으로든 인류가 지구에서 살아남았다는 증거니까요.
우리는 지금 분기점에 서 있습니다. 얼마전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산림을 연구하는 중에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모든 소나무에서 갈라진 흔적이 있었고, 놀랍게도 그 갈라진 흔적에서 새빨간 피가 흐르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누군가가 장난을 친줄 알았지요. 하지만 이내 그게 아니란 걸 알게되었습니다. 온나라 공문을 통해 이 것이 태백시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전국에서 발생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처음 발견했다는 사실 하나로 정부 브리핑을 준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급히 산림청과 각 대학의 환경학과 및 생명공학과 교수들이 태백을 방문해, 표본을 수집하고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밝혀진 사실은 이것이 전염되는 질병이라는 것입니다. 아일랜드를 기근으로 몰아넣은 감자역병처럼 말입니다.
한국에서 시작된 소나무 전염병은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습니다. 연구결과, 이 역병균은 소나무 뿐 아니라 대부분의 목본 식물에 전염된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그 순간 한국은 고립되었습니다. 어느 누구도 한국에 들어갈 수도 나올 수도 없었습니다. 이 역병이 옮는 순간, 세계에서 나무라는 건 공룡처럼 역사의 흔적으로 변하게 될테니까요.
앞서 분기점이라는 말씀을 드렸던 것처럼, 우리는 역사의 순간에 서있습니다. 아마도 이 역병은 세계로 퍼져나갈 것이 틀림없습니다. 이미 다른 나라에서도 몇몇 개체가 전염되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나무라는 게 존재했음을 미래에 알리는 것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열심히 기도하다보면 언젠가 역병을 이기는 새로운 종이 탄생할지도 모르지요.
하지만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우리가 얼마나 무력했는지. 우리는 가끔 착각하곤 합니다. 광산을 채굴하고, 농사를 짓고, 공장을 세우면서 마치 우리가 이 지구의 주인인 것처럼 행사하지만, 결국 우리도 보잘것 없는 생명체에 불과합니다.
이제 사라진 나무로 땅은 황폐해지고 숨 쉬기 어려워지겠지요. 기후가 변하고 지구는 지금을 기회삼아 인간이라는 기생종을 역사의 흔적으로 남기고자할 것입니다.
아직 살아남았다면 우리가 아닌 나무를 기억해주십시오. 이 땅에 나무라는 푸르고 거대한 생명이 존재했다는 것을.
아직 여기에 적힌 문자를 읽을 수 있다면, 이상한 부분이 많았을지도 모릅니다. “산림”, “나무”가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직 푸르름이 가득한 세계를 남기고 싶어 우리는 많은 사진을 찍었습니다. 오랜 기간 보존이 가능하도록 약품을 사용해 보존처리를 했습니다. 부디 이 푸르름이 후대에도 전달되기를 간절히 기원하는 마음에 사진 몇장을 남깁니다. 그리고 마음 같아서는 이 역병이 해결되어 다시 푸르름을 되찾아 제가 방금 한 말에 코웃음 칠 수 있었으면 합니다.